스토리
앤드류 니먼(마일스 텔러)은 최고의 재즈 드러머가 되기를 꿈꾸며 명문 셰이퍼 음악학교에 입학합니다. 그는 전설적인 드러머 버디 리치를 동경하며, 재능을 뛰어넘는 노력을 기울여 자신의 이름을 역사에 남기고자 합니다. 그는 어느 날 밤늦게까지 연습실에서 드럼을 치고 있었고, 그곳에서 악명 높은 교수 테렌스 플렛처(J.K. 시몬스)와 처음 마주칩니다. 앤드류에게 기본기를 보여달라고 하고 기본기를 보여주던 그를 두고 어느샌가 사라집니다. 그 후 앤드류가 합주하는 곳에 들어가 플렛처는 짧은 테스트 후 그를 자신의 스튜디오 밴드에 합류시킵니다.
그러나 플렛처의 교육 방식은 혹독 그 자체였습니다. 그는 작은 실수에도 학생들에게 모욕적인 말을 퍼붓고, 신체적 폭력도 서슴지 않습니다. 앤드류는 플렛처의 가르침 아래 점점 더 극단적으로 변해갑니다. 손이 피투성이가 될 정도로 연습하고, 가족들과의 관계에서도 소외되며, 여자친구 니콜과도 헤어집니다. 그는 음악 외의 모든 것을 포기하면서까지 완벽한 드러머가 되려는 강박에 사로잡힙니다.
한편, 플렛처의 지도를 받던 한 학생이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그의 교육 방식에 대한 논란이 불거집니다. 결국, 플렛처는 학교에서 해고되고, 앤드류 또한 그와의 관계에서 벗어나려 합니다. 하지만 운명처럼 그들은 다시 마주치게 됩니다. 어느 날, 플렛처는 재즈 클럽에서 연주하고 있었고, 그곳에서 앤드류를 발견합니다. 그는 자신이 새로운 밴드를 이끌게 되었다며 앤드류에게 공연에 참가할 것을 제안합니다. 그러나 공연 당일, 플렛처는 일부러 앤드류에게 악보 정보를 알려주지 않아 무대에서 망신을 당하게 합니다. 그렇게 아버지의 위로를 받으면 집으로 가는 것처럼 보였으나, 앤드류는 다시 돌아와 즉흥적으로 연주를 이어가며, 결국 전율적인 솔로 드럼 퍼포먼스를 선보입니다. 이 순간, 플렛처와 앤드류는 서로를 인정하는 듯한 눈빛을 주고받으며 연주가 끝남과 함께 영화도 끝납니다.
플렛처의 성공을 향한 방식
플렛처의 교육 방식은 극단적입니다. 그는 학생들을 심리적으로 몰아붙이며, ‘최고’가 아니면 의미가 없다는 신념을 강요합니다. 그의 교육 철학은 "There are no two words in the English language more harmful than 'good job.' " ("영어에서 '잘했어'라는 말보다 더 해로운 두 단어는 없다.")라는 대사에서 보여주듯이 "칭찬은 성장을 방해한다."라는 원칙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의 방식은 정말로 천재를 만들어내는가?라는 질문에 영화는 명확한 답을 주지 않습니다. 플렛처는 과거에 자신이 혹독하게 몰아붙인 학생이 위대한 연주자가 되었다는 예를 들며, 그런 방식이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그의 가혹한 태도가 또 다른 학생을 극단적인 선택으로 몰아넣었음을 암시하는 장면도 등장합니다. 이는 어디까지가 '동기부여'이며 또 어디까지가 '학대' 인지 정확게 결론 내릴 수 없게 만듭니다.
마지막 공연에서 플렛처는 앤드류를 공개적으로 망신 주려 하지만, 오히려 앤드류는 자신의 앞을 막아서는 플렛처를 뛰어넘어선 전율적인 드럼 연주를 선보입니다. 그는 플렛처의 지시에 따르지 않고 자신만의 스타일로 연주를 이어가며 밴드를 완전히 장악합니다. 플렛처는 처음에는 분노하지만, 점점 그의 연주에 몰입하며 인정하는 표정을 짓습니다. 이 장면은 단순한 성공과 승리의 순간이 아니라, 스승과 제자가 서로 완벽하게 이해하는 찰나를 보여주는 장면이기도 합니다.
앤드류의 성공을 향한 집착
앤드류는 성공과 직결됐다고 생각하는 플렛처의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해 모든 것을 희생합니다. 그는 음악 외의 삶을 철저히 배제하며, 심지어 가족과의 관계에서도 소외됩니다. 그의 목표는 단순한 '잘함'이 아니라, 역사에 남는 ‘위대한 연주자’가 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영화의 클라이맥스에서 앤드류는 플렛처의 함정에 빠지지만, 오히려 이를 극복하며 전율적인 드럼 연주를 선보입니다. 이 장면은 그의 집착이 결국 성공을 이루어낸 것처럼 보이지만, 동시에 그가 인간적인 면모를 완전히 잃어버렸음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플렛처가 천재를 만들기 위해서 폭언과 폭력을 서슴지 않는 모습과 닮은 것 같이 느껴집니다.
마지막 순간, 플렛처와 앤드류는 눈빛을 교환하며 서로를 인정하는 듯한 모습을 보입니다. 하지만 이 결말이 성공인지, 아니면 또 다른 성공에 대한 집착의 시작인지에 대한 해석은 관객에게 맡겨집니다.
후기 : 성공이란?
<위플래쉬>는 단순한 성공담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영화는 '성공을 위해 얼마나 많은 것을 희생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성공을 위해서 교육이 어디까지 극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에 대한 생각을 끊임없이 유도합니다.
앤드류는 결국 플렛처의 방식에 의해 성장했지만, 그것이 과연 옳았는지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이 영화는 예술적 위대함과 인간적인 삶 사이에서 어떤 균형을 찾아야 하는지를 고민하게 합니다. 이러한 방식은 법에서 정해줄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결국, 사람마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방식으로 하게 됩니다.
성공에 대한 집착을 잘 보여주고 그 때문에 무언가를 희생했는지를 잘 보여 주는 영화였습니다. 하지만 이 영화를 보는 분들이 성공에 대한 극단적인 모습만을 보고 성공을 위해 달리는 길을 포기 하거나 따라가지 않았으면 합니다. 각자가 생각하고 각자에게 맞는 성공에 방법을 따라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끝으로 가사 없는 음악을 잘 듣지 않는 편이지만 작중에 연주되는 재즈 음악들은 짧으면서도, 매우 좋은 음악이었습니다. 특히 마지막 연주만큼은 유튜브 같은 곳을 통해서 한 번쯤 들어 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